느헤미야 Nehemiah
느헤미야 Nehemiah
1. 개요:
'여호와께서 위로해 주셨다' 라는 뜻을 지닌 본서는 에스라서와 함께 바벨론 포로 이후의 예루살렘 재건 역사를 다룬다. 저자는 느헤미야이며, 기록 연대는 느헤미야의 총독 은퇴 직후인 B.C. 420년경으로 보인다.
2. 메시지:
당시 유다 백성들은 성전과 성벽을 재건하고 성공적으로 유다 땅에 정착하였지만, 주변 이민족과의 통혼으로 신앙의 순수성을 잃을 위험에 처했다. 유다의 주변 이민족들은 앗수르 제국의 식민지 정책에 의해 이스라엘 땅에 와서 살게 된 사람들로서 갖가지 우상을 함께 섬기는 혼합주의적인 종교를 가졌다. 그런 상황에서 느헤미야는 민족의 정통성과 순수성을 유지하고 하나님만을 섬기는 유일신 신앙이 퇴색되지 않도록 신앙 개혁을 단행하였다.
3. 핵심 주제:
1) 지도자 느헤미야: 느헤미야는 고난받는 하나님 백성의 편에 서고자 했던 경건하고 능력 있는 지도자였다. 역사적으로 예루살렘 성은 하나님의 성전이 있는 거룩한 도성으로서 성전과 더불어 이스라엘의 민족적 구심점이었다. 따라서 느헤미야는 외부의 위협과 귀환자들 내부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백성을 독려하여 성벽을 완공함으로써 '실행하는 믿음'의 모범을 보여 주었다. 그는 완공된 성벽을 하나님께 봉헌하며 백성과 함께 그분을 충실하게 섬기겠다고 언약했다. 더욱이 그는 매우 청렴한 공직자이기도 했다.
2) 말씀의 중요성: 느헤미야는 자기 민족이 이민족에 의해 멸망하게 된 것이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깨달았다. 따라서 그는 백성이 성전 예배와 율법에 복종하는 삶에 충실하도록 신앙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율법에 입각하여 안식일을 성수하게 했고, 이민족과의 통혼을 금했으며, 십일조를 정확히 바치게 하는 등 삶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하는 것만이 민족의 살 길이라고 여겼다.
4. 기록 목적:
예루살렘 성벽 복원을 통해 여호와 신앙의 회복을 강조하며, 이방 혈족과의 구별을 통해 민족의 정통성과 순수성을 유지하고 하나님만을 섬기는 유일신 신앙이 퇴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록되었다.
5. 내용 요약:
♡ 1-6장 : 느헤미야의 귀환 및 성벽 재건
♡ 7장 : 1차 귀환자들의 명단
♡ 8-10장 : 언약 갱신
♡ 11-12장 : 성벽 봉헌
♡ 13장 : 신앙 개혁을 단행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