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가장 고귀한 존재는 ‘사람’입니다. 인권이라는 개념은 근대에 등장하였습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에서 왕권을 혁파하면서, 왕의 천부적인 권리를 민중에게로 전이시킨 역사적인 규정입니다. 천부인권을 자연권이라고도 합니다. 모든 국가 헌법에서 인간의 기본 권리를 선언하고 있지만, 왜 천부인권인지, 어떻게 하여야 권리가 증진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다양합니다. 현재 ‘UN인권위원회’가 세계인의 인권의 표준을 마련하였지만, 그 기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국가는 없습니다(NGO 단체 국제앰네스티). 사형제도 폐지, 동성애 법적 적용, 양심적 병역거부 허용 등 다양한 부분에서 인간 권리 증진을 위해서 노력한다고 천명한 UN의 인권선언은 세계 이성의 지향점입니다. 그러나 인권이 증진된다는 세계에서 테러..
1. 개요: '여호와의 선물' 이란 뜻의 본서는 신약성경의 첫 번째 책으로 원래 유대인들을 위해 기록되었다. 메시아의 오심을 고대하던유대인들에게 예수님이 바로 구약에 약속된 메시아이시자 만왕의 왕이요 온 인류의 구세주이심을 증거하는데 초점을 두고, 구약 예언이 예수님을 통해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집중 조명한다. 따라서 마태복음은 다른 복음서들애 비해 예수님의 왕직과 메시아직을 상대적으로 더욱 강조한다. 저자는 가버나움 세관원 출신인 레위라고 불리는 마태이다. 기록 시기는 예루살렘 멸망 이전인 A.D. 50-70년경으로 추정된다. 2. 메시지: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강림해 이스라엘의 압제자를 정복하고 온 세상을 통치할 '메시아 왕국'의 도래를 대망했다(행 1:6). 마태는 그런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님..
6. 죄와 죽음 성경에서 말하는 죄란 모든 악덕들의 원천인 부패한 인간본성이요, 이 인간본성에서 나온 악한 욕망들이며, 이 악한 욕망들에서 나오는 사악한 범죄들인 바 예컨대 살인, 강도, 간음 및 이러한 종류의 다른 죄악들이 있다. 우리 모두는 어머니의 태 속에 있을 때부터 죄인으로서 본성상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 밑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성장과 더불어 보다 막중한 하나님의 심판을 우리 위에 쌓아올린다. 결국 우리의 생은 죽음을 향해 내달리고 있다. 모든 죄악이 하나님의 의 앞에 가증한 것이라는 사실은 틀림없다. 우리는 막중한 죄짐에 억눌려 있으며 말할 수 없이 오염된 우리 처참한 인생들이기에 하나님 존전에서 하나님의 진노가 불러일으키는 혼란 이외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하나님의 진노가 인간에게 ..
5. 자유의지 성경은 인간이 죄의 노예라고 종종 증거한다. 여기에서 성경이 의미하는 것은, 인간의 정신이 하나님의 의로부터 그렇게도 소외되었기 때문에 인간이 이해하고 욕망하며 시도하는 일들은 무엇이나 악하고 일그러졌으며 사악하고 더럽다. 인간의 마음은 죄의 독소로 온통 물들어 있기 때문에 인간은 조의 열매만을 산출할 따름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로부터 인간이 난폭할 필연성에 의하여 강요 받아 범죄한다고 추론해서는 안된다. 인간은 대단히 민첩하고 의향성있는 의지의 동의에 의하여 죄를 짓는다. 그러나 인간은 그의 부패된 정서로 인하여 하나님의 전의를 계속 증오하고, 다른 한편 온갖 종류의 악행에는 열심을 내기때문에 인간은 결코 선과 악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능력-소위 자유의지-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
3. 하나님에 대하여 우리가 마땅히 알아야 할 것 하나님의 위엄이란 인간의 이해력을 능가하며 이 인간의 이해력에 의하여 파악될 수 없으므로 우리는 이 위엄의 숭고함을 학문적으로 탐구하기보다 그것을 예배해야 한다. 우리가 이것을 학문적으로 탐구하는 한 우리는 그 숭고함에 의하여 계속 압도되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우리는 하나님을 그의 창조사업을 통하여 찾아야 하며 생각해야 한다. 성경은 이 창조의 세계를 보이지 않는 것들(롬1:20 및 히11:1)의 표상들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창조의 세계는 그것을 통해서가 아니면 우리가 볼 수 없는 주님의 보이지 않는 세계를 우리들에게 표상하기 때문이다. 이 창조의 세계를 바라볼 때 우리의 지성은 망녕되고 허망된 사변의 날개를 타고 허공으로 치솟을 수 없다. 이 창..
사무엘하 2Samuel 1. 개요: 사무엘하는 하나님의 종 다윗의 왕위 즉위와 40년 통치에 대한 기록이다. 본래 사무엘상과 사무엘 하는 한 권의 책이다. 따라서 본서 역시 사무엘과 익명의 저자가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략 B.C 930년 이후에 기록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2. 메시지: 다윗 왕국은 사울 왕국과 달리 하나님의 언약에 의해 세워진 이상적인 신정 국가의 표상이었다. 다윗은 통일 왕국의 왕이 되자마자 예루살렘으로 언약궤를 옮겨 왔고, 성전을 건축할 계획을 세웠다. 성전 건축에 대한 그의 소망은 그의 아들인 솔로몬 시대에 결실을 맺는다. 다윗과 그의 통치는 메시아 왕의 오심을 예표한다. 하나님께서는 다윗의 후손을 통해 영원한 왕권을 이루시겠다고 약속 하셨다. 그리고 다윗 언약의 궁극적인..
사람들에게 구원을 주는 중요한 성경구절들 “이때부터 예수께서 비로소 전파하여 가라사대 회개하라.천국이 가까왔느니라 하시더라” (마 4:17).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일은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이 예비하신 천국에 들어갈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고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길이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음이니라” (마 7:13-14). 모든 사람은 이 둘 중 하나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여러분의 삶은 어느 쪽이십니까?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다 내게로 오라.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마 11:28). 인생은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입니다.그러나 예수께서는 내게 오면 평안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 내가 네게 거듭나야 하겠다 하는 말을 놀랍게 여기지 말라(요3:7) 1. "사람이 늙으면 어떻게 날 수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그가 죽을 수 있을 만큼 나이가 찼을 때 그의 낡은 주장에 죽고, 자신의 덕, 종교, 모든것에 죽을 수 있을 때, 그래서 전에는 없었던 생명을 자신 안으로 영접할 수 있을 때입니다. 2. 새 새명은 의식적인 회개와 무의식적인 거룩함으로 드러납니다. 3. "영접하는 자"(요1:12). 예수님에 대한 나의 지식은 내적인 영적 인식에 의한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사람들에게 들어서 배운 것일 뿐입니까? 내 삶 속에서 주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개인적 구세주로 연결시키는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모든 영적 역사는 그 밑바탕에 주 예수님을 체험한 인격적인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