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다는 ‘여호와를 찬양하는 자’란 뜻이며 본서는 교회 내에서 활동하는 거짓 교사들에게 대항할 수 있도록 무장시키기 위해 쓴 강력한 경고의 편지이다. 본서의 수신자가 누구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당시 초기 영지주의자들이 기승을 부렸던 소아시아 여러 지방의 교회 성도들로 추정하는 학자들이 많다. 저자는 예수님의 동생 유다이며, 기록 시기는 초기 영지주의 사상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A.D. 70-80년경으로 추정된다. 2. 메시지: 야고보와 함께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로 활동한 유다는 초기 영지주의자들의 폐해를 심각히 여겨 성도들에게 영지주의에 대한 방어뿐 아니라 적극적 대처를 요구하며, 특히 영지주의자들의 도덕적 부패성을 집중적으로 공격하고 있다. 3. 핵심 주제: 1) 거짓 교..
1. 개요: 요한은 ‘여호와는 은혜가 깊으시다’ 란 뜻이다. 요한일서는 영지주의를 비롯한 각종 이단에 의해 심각한 위기를 맞은 교회를 바로 세우기 위해 보낸 서신이다.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저자인 사도 요한이 기록하였으며, 기록 시기는 요한복음이 기록된 후인 A.D. 85-95년경으로 추정된다. 2. 메시지: 소아시아 지역의 여러 교회 성도들이 당시 위협적 이단이였던 영지주의자들의 가르침에 미혹되지 않고 그리스도에 대한 온전한 지식에 입각한 삶을 살도록 교훈하기 위해 기록되었다. 3. 핵심 주제: 1) 죄: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받은 성도라도 이 세상에 사는 동안 계속 죄를 범하게 되므로 부단히 자신을 쳐서 하나님의 뜻에 복종하며 죄의 유혹에 대항해야 한다. 2) 사랑: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것..
1. 개요: 베드로는 ‘반석, 바위’란 뜻이며 본서는 교회에 침투한 거짓 교사와 거짓 교훈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교훈하는 서신이다. 기록 시기는 베드로가 순교하기 직전인 A.D. 66-68년경으로 추정된다. 2. 메시지: 네로 황제(A.D. 54-68)의 기독교 대박해에 따른 여파가 로마 제국 전역에까지 미침에 따라 소아시아 지역의 교회들 역시 고난을 겪게 된 위기 상황을 틈타 교회를 혼란케 하는 이단이 난무했다. 이 거짓 교사들은 도덕적 방종을 조장하며 그리스도의 재림을 부인하였다. 이에 베드로는 성도들로 하여금 이단을 경계하며 경건 생활에 힘쓰는 가운데 주님의 재림을 대망하도록 당부하고 있다. 3. 핵심 주제: 1) 신앙 성장: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아동은 해가 거듭될수록 그 키가 자라며 지식적, ..
1. 개요: 디도서는 ‘공경’이란 뜻이며, 본서는 바울이 그레데 섬에서 목회하고 있던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서신으로 목회 서신에 속한다. 바울이 1차 로마 투옥 상태에서 풀려난 뒤 떠났던 전도 여행의 막바지인 A.D. 65-66년경에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2. 메시지: 디도서는 바울이 디도와 함께 그레데를 들렀다가 그곳 교회의 심각한 문제점을 보고 디도를 남겨두어 시정하게 하고 마게도냐로 돌아온 후 그를 격려하고 목회 전반에 걸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쓴 책이다. 교회 일꾼을 뽑는 일과 교회 지도자로서 어떻게 교인들을 올바로 가르치며 훈련시켜야 하는가를 일깨워 준다. 3. 핵심 주제: 1) 율법주의 경계: 그레데에 살고 있던 유대인들의 영향은 이곳 교회에도 미쳤다. 교회에 침투한 율법주의자들은 아브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