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예레미야애가 Lamentations
1. 개요:
'슬픈 노래'란 뜻의 본서는 바벨론에 의해 점령된 예루살렘의 모진 운명을 애절하게 눈물로 노래한 시 형식의 조가(弔歌)이다. 앞의 네 편의 시는 장례식 때 사용되는 애도적인 운율로 되어 있으며 알파벳 시(답관체) 형태이다. 저자는 예레미야로 보며, 기록 시기는 예루살렘이 함락된 B.C. 586년 직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2. 메시지:
본서는 예루살렘이 바벨론 군대에 포위된 동안의 상황과 예루살렘 함락 직후의 유다의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보통 예레미야서에 부속시켜 생각되는 예레미야애가는 처참히 멸망한 예루살렘을 애도하는 내용이 대부분이지만, 하나님께서 겸손히 회개하는 이스라엘을 장차 회복하실 것이라는 희망을 아울러 표현한다.
3. 핵심 주제:
1) 죄와 징계: 본서는 자기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가 정당한 것임을 증거한다. 유다 백성이 하나님을 저버리고 우상을 숭배했고,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하였기 때문에 언약에 명시된 대로 하나님의 징계를 받은 것이다(신 28:15-68).
2) 하나님의 자비: 본서의 저자는 민족적 재난으로 인한 심각한 고뇌와 슬픔을 본서 전체를 통해 표출한다. 저자가 이렇듯 비탄과 슬픔에 압도당한 것은 불신앙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하나님의 자비와 신실하심에 의지하여 유다 백성의 회복을 간절히 호소한다(3:22-36). 유다 멸망이 그들의 갱신을 통해 더 큰 뜻을 성취하시려는 하나님의 자비에 근거한 구속사적 섭리의 결과임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3) 소망: 예레미야는 바벨론 포로 생활이 70년이 경과하면 끝날 것임을 예언한 바 있다(렘 25:11). 본서는 그 날을 대망하며 유다의 대적들이 그들의 죄로 인해 심판받을 날을 고대한다(4:21, 22).
4. 기록 목적:
예루살렘 멸망을 통해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가 얼마나 큰가를 깨우치고, 죄악에 대한 회개를 강조하기 위해 기록되었다.
5. 내용 요약:
♡ 황폐해진 예루살렘, 자기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 선지자의 고뇌와 소망, 죄악으로 인한 예루살렘의 멸망, 유다의 회복을 위한 간구를 주제로 한 시를 기록하고 있다.
'성경 장별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니엘 Daniel (0) | 2021.03.16 |
---|---|
에스겔 Ezekiel (0) | 2021.03.11 |
예레미야 Jeremiah (0) | 2021.03.08 |
이사야 Isaiah (0) | 2021.03.06 |
아가 Song of Songs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