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죄 4

7장. 이 땅에서 가장 고귀한 인간, 그러나?

지구에서 가장 고귀한 존재는 ‘사람’입니다. 인권이라는 개념은 근대에 등장하였습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에서 왕권을 혁파하면서, 왕의 천부적인 권리를 민중에게로 전이시킨 역사적인 규정입니다. 천부인권을 자연권이라고도 합니다. 모든 국가 헌법에서 인간의 기본 권리를 선언하고 있지만, 왜 천부인권인지, 어떻게 하여야 권리가 증진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다양합니다. 현재 ‘UN인권위원회’가 세계인의 인권의 표준을 마련하였지만, 그 기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국가는 없습니다(NGO 단체 국제앰네스티). 사형제도 폐지, 동성애 법적 적용, 양심적 병역거부 허용 등 다양한 부분에서 인간 권리 증진을 위해서 노력한다고 천명한 UN의 인권선언은 세계 이성의 지향점입니다. 그러나 인권이 증진된다는 세계에서 테러..

6장. 거부할 수 없는 하나님의 존재

모든 인간은 신(神)을 인정합니다. 신(神) 존재를 거부하는 인간은 없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종교성은 인류의 보편적인 성향입니다(로마서 1:19-20). 16세기의 신학자 칼빈은 인류에게 있는 미신, 우상숭배도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한다고 합니다. 20세기 로마 교회 신학자인 칼 라너는 무신론자도 신(神) 개념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무신론자도 신의 존재를 부정하여 결국은 유신론자가 됩니다. 인간이 동물들과 구별되는 독특성 중에 하나가 ‘신(神)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진화론적 사고에서 신은 인간이 창안한 개념이라고 하고, 동물에게도 종교 의식이 있다고도 합니다. 어떠한 개념을 만들어도 인간은 신 의식에서 탈출할 수 없습니다. 인간이 신(神)을 부정하려고 해도 인류는 결코 신을 부정하지 못하였습..

5. 자유의지

5. 자유의지 성경은 인간이 죄의 노예라고 종종 증거한다. 여기에서 성경이 의미하는 것은, 인간의 정신이 하나님의 의로부터 그렇게도 소외되었기 때문에 인간이 이해하고 욕망하며 시도하는 일들은 무엇이나 악하고 일그러졌으며 사악하고 더럽다. 인간의 마음은 죄의 독소로 온통 물들어 있기 때문에 인간은 조의 열매만을 산출할 따름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로부터 인간이 난폭할 필연성에 의하여 강요 받아 범죄한다고 추론해서는 안된다. 인간은 대단히 민첩하고 의향성있는 의지의 동의에 의하여 죄를 짓는다. 그러나 인간은 그의 부패된 정서로 인하여 하나님의 전의를 계속 증오하고, 다른 한편 온갖 종류의 악행에는 열심을 내기때문에 인간은 결코 선과 악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능력-소위 자유의지-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

4. 인간

4. 인간 처음에 인간이 창조될 때에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다. 그래서 이 인간창조의 목적은 인간이 하나님께로부터 부여받은 모든 고상한 자질로써 그의 창조자를 찬양하며 하나님에 대하여 마땅히 인정할 바를 인정함으로 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은 그의 본성의 탁월함을 의지하고 그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사실과 하나님에 의하여 존립하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 버리고 주님을 떠나 스스로 높아지려고 애썻다. 이런 까닭에 인간은 그가 바보스럽게 자랑하던 하나님의 모든 선물들을 빼앗겨야만 했다. 그 결과 인간은 모든 영광을 상실하였으니 하나님의 자비에 의하여 풍요롭게 된 후에 감히 경멸하였던 하나님을 알아야 한다. 결과적으로 우리 안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이 상실되었으므로 아담의 씨..